본문 바로가기
게임 정보

게임 구독 서비스 그게 뭔데?

by 칼시안 2019. 9. 5.
반응형

혹시 게임 구독 서비스에 대해서 들어보셨나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게임 구독 서비스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게임 구독 서비스는 금액을 결제하면 정해진 기간 동안 해당 게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하는데요.

 

최근 들어서 여러 게임사들이 구독 서비스를 발표하면서 경쟁이 과열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대표적인 구독 서비스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영상으로 보고 싶은 분들은 아래 영상을 확인해주세요.

 

 

1. PlayStation Now

한달 이용 금액 : 19.99달러

 

가장 먼서 소개해드릴 서비스는 소니가 서비스가 하고있는 Playstation Now입니다.

Playstation Now는 2014년부터 서비스를 하고 있는 구독 서비스인데요.

 

PS Now의 장점은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한다는 점입니다.

때문에 사용자는 어디에서든 이 서비스에 접속하여 게임을 할수 있는데요.

 

서비스 초창기에는 삼성이나 소니의 스마트TV 플스3나 비타와 같은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었지만 현재는 PS4와 PC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PC의 경우는 실시간 스트리망 서비스만을 지원하고, PS4는 다운로드를 통해 해당 타이틀을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PS NOW는 PC와 PS4에서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서비스의 치명적인 단점이 하나 있는데요.

바로 지원하고 있는 게임 타이틀이 부실하다는 점입니다.

최근에 발매된 게임들은 이 서비스를 통해 플레이를 해볼 수 없습니다.

그리고 한국의 경우 서비스 지역이 아니다 보니 해외로 우회하여 해당 서비스를 가입해야 합니다.

월  19.99달러의 서비스 비용 또한 다른 서비스와 비교하였을 때에는 다소 비싸보인다는 점도 있겠네요.

하지만 현재 약 700여개의 게임을 플레이 해볼 수가 있고, PS4가 아닌 PC에서 플레이스테이션 게임을 즐길 수 있다는건 정말 매력적인 서비스라고 생각되네요.

 

2. GeForce NOW

한달 이용 금액 : 미정

 

다음 소개해드릴 서비스는 GeForce NOW입니다.

GeForce NOW는 이름에서 알아차린 분들이 계실지 모르겠지만 그래픽카드 제조사로 유명한 엔비디아가 서비스를 하고 있는 구독 서비스입니다.

엔비디아는 오래전부터 이 서비스를 준비해왔는데요.

엔비디아 그리드를 2013년 런칭하면서 쉴드 기기를 통해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였습니다.

그리고 2017년에는 GeForce NOW라는 서비를 새로 출시하게 되었습니다.

 

여러 플랫폼을 지원하는 GeForce NOW

 

지포스 나우의 특징을 살펴보면 가변 스트리밍 서비스 환경을 지원한다는 점인데요.

인터넷 속도에 따라 1080P와 720P 화질을 제공합니다.

또한, CES 2017에서 밝혀진 정보에 따르면 GeForce NOW의 경우 스팀과 오리진의 라이브러리에 접근하여 해당 게임들을 엑세스할 수있다고 밝혔습니다.

 

GeForce NOW는 Steam과 Origin 라이브러리에 접근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다양한 플랫폼 유저들이 GeForce NOW 서비스를 통해 고품질의 게임 서비스를 즐기게 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올해 국내 기사에 따르면 GeForce NOW는 LG유플러스를 통해 국내 서비스가 될 예정이며 서비스 시기는 올해 9월로 예정이되어있습니다.

하지만 GeForce NOW에도 단점이 존재하는데요

GeForce NOW의 경우 이용자에게 하드웨어 환경만을 제공하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게임을 플레이하려면 추가 요금을 지불해야 합니다.

때문에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 이외에 추가적인 서비스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는 점은 어쩔수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GeForce NOW의 경우 그래픽카드 제조사로 유명한 엔비디아에서 서비스 한다는 점에서 보았을 때에 강력한 하드웨어 기반의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이 이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가 유저에게 긍정적으로 다가갈 수 있다고 생각되어지네요.

 

GeForce NOW의 경우 올해 RTX 그래픽카드로 서비스 품질을 변경할 예정이다

 

 

 

3. Origin access

한달 이용 금액 : 5,000(베이직) / 16,500(프리미어)

 

세번째 서비스는 EA가 서비스하고 있는 Origin access입니다.

Origin access는 2016년부터 오리진을 통해 서비스 되고있는 구독 서비스입니다.

서비스 초창기 이 서비스는 저렴한 요금으로 인기를 끌었는데요.

한달 사용 요금은 무려 5000원 밖에 안했기 때문이죠.

게다가 서비스 이용 기간 동안에 오리진에서 게임을 구매하면 10%할인을 해주는 혜택 또한 제공하였습니다.

하지만 서비스에 대한 불만도 많이 있었습니다.

최근에 출시되는 게임들은 플레이를 해볼 수 없다는 점인데요.

이 때문에 최근 EA는 Origin access 서비스 개편을 진행하였고 기존 서비스는 베이직으로 제공하고 새로운 프리미어 멤버십 서비스를 추가하여 최신 타이틀 또한 즐길수 있는 서비스를 출시하였습니다.

 

서비스 개편으로 베이직과 프리미어로 나뉘어 서비스 하고있다

 

하지만 가격은 16500원으로 상승하였는데요.

그래도 최신 타이틀을 이 가격에 플레이 해볼 수 있다는 점은 매력적인 서비스인 것이 분명한것 같네요.

Origin access에도 단점은 분명히 존재합니다.

가장 큰 단점으로 뽑히는 것은 바로 서비스가 되는 게임인데요.

Origin access는 EA의 플랫폼인 오리진에서 서비스 되는 게임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때문에 다른 플랫폼과는 다르게 서비스 되는 타이틀이 다소 제한적인 단점이 분명 존재합니다.

그리고 앞서 설명드린 지포스 나우나 PS나우와 같은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비스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4. XBOX GAME PASS

 

한달 이용 금액 : 9.99달러(콘솔) / 4.99달러(For PC) / 14.99달러(Ultimate)

 

네번째로 소개할 서비스는 XBOX GAME PASS입니다.

XBOX GAME PASS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서비스하는 구독 서비스인데요.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앞서 설명드린 Origin access와 비슷한 서비스라고도 볼수 있습니다.

서비스 초창기에는 엑스박스를 이용하고 있는 유저라면 월9.99달러 요금제를 통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엑스박스에서 제공하는 많은 타이틀들을 무료로 즐길 수 있었습니다.

최근 이 서비스가 각광을 받는 이유는 바로 새로운 서비스가 발표되었기 때문인데요.

 

마이크로소프트는 XBOX GAME PASS for PC / 얼티밋 서비스를 발표하였습니다.

이제 엑스박스에서만이 아닌 PC에서도 XBOX GAME PASS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는데요.

For PC의 경우 4.99달러에 Ultimate의 경우 14.99에 서비스가 되며 Ultimate 요금제에는 엑스박스와 PC플랫폼에서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골드 라이브 서비스를 추가로 제공하고 다양한 혜택이 주어지는 구독 서비스라고 합니다.

 

새롭게 개편된 XBOX GAME PASS 요금제

 

XBOX GAME PASS의 단점은 역시나 제한된 플랫폼인데요.

해당 서비스의 경우 엑스박스 플랫폼을 통해서 서비스가 되기 때문에 제한된 게임들만 서비스가 될수 있습니다.

최근 발표되는 소식에 의하면 다양한 게임사들의 게임들이 해당 서비스를 통해 서비스가 될 예정이기 때문에 이 부분은 조금 상쇄가 되고있다고 볼수도 있겠네요.

또한 XBOX GAME PASS의 경우 스트리밍 서비스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5. Stadia

한달 이용 금액 : 9.99달러 (PRO) / 무료 (Base)

 

마지막으로 소개해 드릴 서비스는 Stadia 입니다.

Stadia는 구글이 서비스할 예정인 서비스 인데요.

Stadia가 내세우는 가장 큰 장점은 저사양 PC에서 고사양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입니다.

구글에 의하면 스태디아는 유튜브 재생이 되는 환경이라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게다가 PC에서만이 아닌 다른 플랫폼에서도 Stadia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밝혀진 내용으로는 안드로이드 기기나 구글 크롬캐스트를 통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는 인터넷이 연결되어있는 환경이라면 설치 없이 바로 게임을 플레이해 볼 수있습니다.

 

Stadia는 해당 서비스를 발표할 때 계속해서 강조하는 것이 있었는데요.

바로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인 지연 시간입니다.

구글은 세계 여러나라에 데이터센터를 구축하였으며 스태디아는 이러한 환경을 통해 서비스가 된다고 합니다.

때문에 지연시간을 현저하게 줄일수 있었다고 밝혔으며, 한국의 경우도 서비스 시기를 조율해서 한국에 데이터 센터를 구축할 예정이라고도 합니다.

구글은 자신이 있는듯 Stadia 런칭 게임 중 당당히 대전 액션 게임을 추가하였는데요.

참고로 대전 액션 게임은 프로들의 경기에서는 1ms의 차이도 결과 큰 영향을 끼치는 게임 장르입니다.

 

Stadia 런칭 타이틀 중 하나인 모탈 컴뱃11(대전 액션게임)

 

그리고 가격적인 측면에서도 상당히 매력적이였는데요.

Stadia는 베이스와 프로 2가지 서비스 요금제를 발표하였으며 베이스는 무료, 프로는 월 9.99달러에 제공됩니다.

 

Stadia는 프로와 베이스 2가지 요금제를 제공하며 베이스는 무료이다

 

또한 파운더스 에디션을 구매하면 3개월 동안 PRO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고 버디패스를 통해 친구에게 3개월 구독권을 선물할 수 있습니다.

 

Stadia와 함께 출시되는 파운더스 에디션은 컨트롤러와 구글 크롬캐스트 울트라를 제공한다

 

구글이 서비스하는 Stadia 또한 단점이 존재합니다.

Stadia는 앞서 설명드렸던 Origin access나 XBOX GAME PASS와 같이 게임이 무료로 제공되지 않습니다.

때문에 사용자는 추가로 요금을 결제하여 게임을 구매해야합니다.

그리고 스트리밍으로 서비스되는 환경 또한 단점 중 하나입니다.

스트리밍 서비스의 경우 인터넷 환경에따라 제공 되는 서비스 품질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는 게임 플레이가 다소 매끄럽게 이어질수 없는 리스크가 존재할 수있다고 생각합니다.

구글의 Stadia는 오는 11월 런칭 예정입니다.

 

네 여기까지 게임 구독 서비스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게임 구독 서비스를 이용한다면 저렴한 가격에 다양한 게임을 즐길 수 있으니 한번 생각해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이번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

저는 다음에 또 유익한 게임 소식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이상 칼시안이였습니다.

반응형

댓글